❗️출처: 하이애나 블로그
8.1 Exceptions
예외적인 제외흐름
예외상황 처리하고
예외테이블
예외상황과 프로시저콜의 차이점
운영체제는
8.1.2 예외의 종류
interrupt, trap, fault, abort 4가지가 있다
interrupt
trap
and system call
일부러 만든 예외상황
systemcall
fault
fault
abort
8.1.3 리눅스 x86-64 시스템콜
8.2 Processes
실행 프로그램
마치 운영프로그램을 독점하듯, 메모리를 독점하듯 보임
8.2.1 논리적인 제어흐름
8.2.2 concurrent flow
8.2.3 Private address space
한 프로그램이 메모리독차지?? ⇒ nono, 사실 아님
프로그램들은 자신만의 주소공간을 제공함(다쓰는거 아님, 난 여기까지만 쓰는거)
(위 그림)stack의 top부터 데이터를 넣어줌
8.2.4 user and kernel modes
8.2.5 context switch
context switch를 통해 multitasking 사용
그림보면, 유저영역이랑 커널 영역 와리가리 치면서 돌아다님
스케줄링
예시
8.3 System Call Error Handling
8.4 Process Control
8.5 Signals
8.6 Nonlocal Jumps
8.7 Tools for Manipulating Processes
8.8 Summary